
전기전자공학과
전기전자공학은 대형 발전기부터 미세한 컴퓨터 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비를 다루는 분야입니다. 전기 및 전자 시스템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계시거나 전 세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디지털 장치를 만드는 데 관심이 있으시다면 아주 안성맞춤인 학과인데요. 이 분야는 가정용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모바일폰, 디지털 카메라, TV, 제트 엔진, 의료기기, 전력망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호주의 전기전자공학 과정은 뛰어난 인프라, 우수한 교수진, 그리고 높은 취업률로 인해 국내외 학생들에게 매우 인기 있는 선택지입니다.

1. 호주에서 전기전자공학 학업을 해야 하는 이유
✔ 최신 기술과 지식
호주는 최신 기술이 빠르게 도입되는 현대적인 사회입니다. 호주의 대학들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전자공학 분야에 맞춰 최신 교수법과 커리큘럼을 갖추고 있어, 시대를 앞서가는 지식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습니다
✔ 높은 취업률과 우수한 연봉
호주 기업의 엔지니어링 전공 졸업생 초봉은 매우 경쟁력이 있습니다. 특히 전기전자공학 전공자들은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 중 가장 높은 취업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안정적인 성장 전망
스마트 기술과 인프라 개발을 주도하는 전기전자공학 분야는 전 세계 경제 회복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어 앞으로의 전망이 매우 밝습니다
✔ 세계적인 기업들과 함께하는 경력
호주에서는 Intel, Boeing Defence, Goodyear Engineered Products, Apple, Google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업들이 전기전자공학 인재를 채용하고 있습니다.
✔ 호주 영주권 준비 가능
이 직업군은 **Skills Priority List(기술 우선순위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모든 호주 주(State)에서 높은 수요와 국가적 인력 부족이 인정된 분야입니다. 이는 졸업 후 이민 기회에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2. 호주 전기전자공학 졸업 후 진로
⚡전기엔지니어 (Electrical Engineer)
전기 시스템, 장비 및 기기를 설계, 개발, 테스트하고 생산 과정을 감독합니다. 전력 생산, 통신, 전자,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 전자엔지니어 (Electronics Engineer)
마이크로전자, 반도체, 회로 설계 등 전자 장치 개발에 초점을 맞추며, 가전제품 및 통신 분야 등에서 활약합니다.
🛡️ 보호 및 자동화 엔지니어 (Protection and Automation Engineer)
전력 인프라를 보호하고 전력 시스템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설계 및 유지하는 전문 직무입니다.
📡 통신 엔지니어 (Telecommunications Engineer)
통신 네트워크, 모바일 시스템, 데이터 전송 시스템 등을 설계 및 유지관리하며, 기술 발전과 함께 수요가 계속 증가하는 분야입니다.
🧪 시스템 테스트 엔지니어 (Systems Test Engineer)
복잡한 시스템이 설계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 전략을 개발하고 실행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의 팀과 협력합니다.
🔋 전력시스템 엔지니어 (Power Systems Engineer)
발전소, 송전망 등 전력 시스템을 설계하고 관리하며, 가정과 산업에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보장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합니다.

3. 국제 학생을 위한 호주 전기전자공학 과정
호주에서는 국제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전기전자공학 관련 과정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학위 수준부터 전문 기술 자격 과정까지, 여러분의 목표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다양합니다.
📘 제공 과정 예시
과정명 | 설명 |
---|---|
Certificate IV in Automotive Electrical Technology | 자동차 전기 기술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배울 수 있는 인증과정 |
Diploma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 전자 및 통신 기술의 실무 능력을 개발하는 중급 과정 |
Advanced Diploma of Engineering Technology – Electrical | 고급 전기공학 기술 및 이론을 다루는 전문 과정 |
Advanced Diploma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 전자 및 통신 시스템 설계, 유지보수 능력 강화 과정 |
Bachelor of Engineering (Electrical and Electronic) | 전기전자공학 전반을 다루는 학사 과정 |
Master of Engineering (Electrical Engineering) | 전문 기술과 연구 역량을 심화시키는 석사 과정 |
Doctor of Philosophy (PhD) in Electrical Engineering | 전기공학 분야의 고급 연구 및 학술 활동 중심 박사과정 |

4. 호주 전기전자공학에서 선택할 수 있는 전공
전공 분야 | 설명 |
---|
전기 에너지 변환 및 활용 (Electrical Energy Conversion & Utilisation ) | 전기를 다양한 형태로 변환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기술 학습 |
전자 회로 설계 (Electronic Circuits ) | 전자기기의 핵심 요소인 회로의 분석 및 설계 능력 향상 |
고급 전력전자 설계 (Advanced Electronic & Power Electronics Design ) | 고출력 시스템 및 전력 전자 시스템 설계에 대한 심화 전공 |
디지털 신호처리 (DSP) (Digital Signal Processing ) | 음성, 영상, 이미지 처리 등 다양한 디지털 신호를 분석 및 변환하는 기술 |
전력 시장 운영 및 보안 (Electricity Market Operation and Security) | 전력 시장과 전력망의 운영, 보안 및 효율성에 대한 이해 |
전자기 계산 기법 (Computational Techniques in Electromagnetics ) | 복잡한 전자기 문제를 시뮬레이션 및 계산으로 해결하는 기술 |
로보틱스 및 자동화 (Robotics & Automation) | 자동화 시스템, 로봇 설계 및 제어 시스템 통합 기술을 배우는 다학제적 전공 |

5. 호주 전기전자공학 입학 요건
과정 | 학력 요건 | 영어 요건 (IELTS) |
---|---|---|
디플로마 (Diploma) | 고등학교 졸업 또는 동등한 자격 | 총점 5.5 이상 (각 영역 최소 5.0) |
학사과정 (Bachelor) | 고등학교 졸업 또는 디플로마 이수 | 총점 6.5 이상 (각 영역 최소 6.0) |
석사과정 (Master) | 학사 학위 이상 보유 | 총점 6.5 이상 (각 영역 최소 6.0) |

6. 호주 전기전자공학과 추천 대학교
🎓 디플로마과정 (Diploma Level)
학교 | 과정명 |
---|---|
TAFE QLD | Diploma of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s Engineering |
TAFE NSW | Diploma of Telecommunications Engineering |
🎓 학사과정 (Bachelor’s Level)
대학교 | 과정명 |
---|---|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QUT) | Bachelor of Engineering (Honours) (Electrical and Aerospace) |
University of Queensland (UQ) | Bachelor of Engineering (Honours) (Electrical and Biomedical Engineering) |
Griffith University | Bachelor of Engineering (Honours)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UNSW) | Bachelor of Engineering (Honours) (Electrical Engineering) |
University of Sunshine Coast (USC) | Bachelor of Engineering (Electrical and Electronic) (Honours) |
🎓 석사과정 (Master’s Level)
대학교 | 과정명 |
---|---|
University of Queensland (UQ) | Master of Engineering (Electrical Engineering) |
Charles Darwin University | Master of Engineering (Electrical and Electronics) |
University of Southern Queensland (USQ) | Master of Engineering Practice (Electrical and Electronic) |
UNSW | Master of Engineering (Electrical Engineering) |
RMIT University | Master of Engineering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
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 Master of Engineering Science (Electrical and Electronic) |

7. 호주에서 전기공학자가 되는 방법
✅ Step 1: 전기전자공학 학사 학위 취득
먼저, Engineers Australia에서 인증된 전기 또는 전자공학 관련 학사과정을 이수해야 합니다. 이 인증은 졸업 후 전문 엔지니어로 등록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Step 2: 실무 경험 쌓기
학위 취득 후에는 약 4년간의 감독하에 실무 경험을 쌓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 경험은 전문 자격 취득을 위한 필수 단계입니다.
✅ Step 3: 전문 엔지니어 등록
엔지니어스 오스트레일리아(Engineers Australia)를 통해 전문 엔지니어 라이센스를 신청합니다. 근무 예정 주(State)나 지역의 등록 요건도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이 자격을 취득하면 독립적으로 업무 수행이 가능합니다.

8. 호주 전기전자공학 기술심사
호주에서 기술심사(Skills Assessment)는 이민 및 취업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단계입니다. 전기전자공학 전공자의 경우, Engineers Australia (EA)가 공식 기술심사 기관입니다.
✅ 호주 학위 보유자의 기술심사 절차
EA에서는 Australian Qualification Pathway를 통해 호주에서 취득한 공학 학위 소지자의 기술을 심사합니다. 아래 서류들이 일반적으로 요구됩니다:
- 여권 또는 주민등록증 등 신분증
- 여권용 증명사진
- 학력 및 경력 요약을 포함한 이력서 (CV)
- 학위 성적증명서 및 졸업증명서 또는 수료증
심사에 성공하면, 해당 신청자의 기술은 호주에서 전기/전자 엔지니어로서 적합하다고 인정받으며, 이를 바탕으로 취업 또는 영주권 비자 신청이 가능합니다.
⏳ 기술심사에는 수 개월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호주 전기전자공학 영주권(PR) 경로
Step 1: 485 졸업생 비자 신청
- 학사 이상의 2년 이상 관련 전공 수료 시 신청 가능
- IELTS 6.5 (모든 밴드 5.5 이상) 또는
PTE 57 ( Listening 43 / Reading 48, Speaking 42, Writing 51) - **지역 대학(Gold Coast, Adelaide, Perth 등)**에서 수료하면 최대 추가 1-2년 비자 연장 가능
- 최대 4년간 호주 체류 가능
📌 485 졸업생 비자는 영주권(PR) 또는 영주권으로 이어질 수 있는 비자 준비 기간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Step 2: 영주권 또는 영주권으로 이어지는 비자 신청
🟢 기술 이민 (Skilled Migration)
- 189 독립기술이민 Skilled Independent visa (subclass 189)
- 190 주정부 후원 비자 Skilled Nominated visa (subclass 190)
- 491 기술직 지역비자 Skilled Work Regional (Provisional) visa (subclass 491)
🟡 고용주 스폰서 이민 (Employer Sponsored Migration)
- 186 고용주 후원비자 Employer Nomination Scheme (subclass 186)
- 482 임시취업비자 Skills in Demand visa (subclass 482)
- 494 지방지역 후원비자 Skilled Employer Sponsored Regional (Provisional) Visa (subclass 494)